대학시절에 철학책 읽다가 문득 생명에 대해서 생각해볼 때가 있었다. 도대체 생명은 무엇인가? 갑자기 굉장히 부자연스러운 거의 위태위태한 어떤 물리적 상태라는 생각이 떠올랐다. 극한의 어떤 부조화가 바로 생명의 씨일 수 밖에 없지 않는가? 최소의 호흡이 최초의 움직임이 생기려면 흔들바위에 굉이돌을 빼내는 순간에서 시작되지 않으까 하는 생각말이다. 굉이돌을 빼내는 순간 바위는 굴러떨어지고 그 에너지로 어떤 순환이 생기는 것 아닌가. 그리고 나서 성냥불이 모닷불이 되고 또 들불이 되는 것이 성장이라 볼 수 있다. 그러고 보면 불과 생명은 하나의 현상 같은 생각이 든다. 다 태우면 꺼지는 것도 그렇고. 나중에는 그 화로마저 사용할 수 없게 되니... 생명이 불이라면 언제가는 꺼지기 마련이다. 불은 부조화 불평등한 물리적 존재가 만났을 때 발생된다. 태우면서 같아지고 고요해진다. 다 타버린 장작밑으로 새록 새록 숯불이 깜박이고 있는 것만큼 고요한 평화가 또 있을까. 그래 평화란 어쩌면 격렬한 불길후에 남은 재투성이 화로속의 잔불과도 같은 희미하고 서로 어찌 못하는 그런 상태라 볼 수 있지 않을까 그래 이 세상을 어떤 한 가지 원리로 설명하려는 시도는 비약이고 속임수라는 것쯤은 알아야 할 나이다 싶다. 단순하고 설명하기 쉬운 것에 현혹되지 말자. 자기 자신은 단순하게 살더라도 세상이 그러리라 보는 것은 순진하고 정확하지 않다. 아래로 떨어지는 힘이 있고 위로 솟구치려는 힘이 있다. 그 둘의 균형에서 우리는 지금 땅에 발 붙이고 살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. 단순하려는 것에는 반드시 복잡해 지려는 이유가 있다. 그저 어느 한 가지 그런 것을 봤었다고만 말하고 살는 것이 현명한 사람의 태도가 아닌가.
I'm software developer. I have a dream to become like a lion. How I could become a lion is so simple. Me x Lion = Lion(Me). Lion(Me) should be clearly a kind of lion.